아티스트 소개
브랜드 스토리
서로 다른 우리, 하나의 꿈을 만들어가는 글로벌 차세대 아이돌
4세대 K-팝의 글로벌 리더로서 독보적인 위치를 확립한 그룹입니다. 이들은 데뷔 이후 꾸준한 성장 곡선을 그리며 전 세계 음악 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증명해왔습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단순히 음악을 선보이는 것을 넘어, 그들의 모든 작품에 일관되고 깊이 있는 서사를 담아내며 팬덤을 넘어 대중에게도 깊은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이러한 독창적인 브랜드 가치는 그룹의 상업적 성공을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브랜드는 단순한 인기 아이돌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미래를 선도할 수 있는 확실한 투자처로서의 가치를 지닙니다.
비주얼 포트폴리오





아티스트 이력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강력한 글로벌 팬덤 모아(MOA)의 전폭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성장해 왔습니다. 이들의 팬덤은 단순히 규모가 큰 것을 넘어, 높은 참여도와 활동성으로 유명합니다. 초기 앨범의 초동 판매량 수치와는 별개로, 데뷔곡을 제외한 타이틀곡 뮤직비디오의 경우, 공개 후 첫 24시간 동안의 조회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이는 팬덤의 규모와 영향력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팬들의 결집력과 소비력이 갈수록 강력해지고 있다는 명확한 증거입니다.
핵심 성과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인 '빌보드 200'에서 보여준 압도적인 성과입니다. 이들은 최근 발매한 정규 4집 '별의 장: 투게더'(TOGETHER)를 포함해 총 5개의 앨범을 빌보드 200 차트 TOP 5에 진입시키는 기록을 세웠으며, 그중 두 개의 앨범(minisode TOMORROW와 별의 장: TOGETHER)은 3위라는 최고 순위를 달성했습니다. 더욱 주목할 만한 점은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방탄소년단(BTS)에 이어 빌보드 200 차트에 10장 이상의 앨범을 올린 두 번째 K-팝 아티스트라는 사실입니다. 이는 일회성 성공이 아닌, 데뷔 이래 발표한 거의 모든 앨범이 전 세계 음악 팬들에게 꾸준히 사랑받으며 막강한 팬덤과 구매력을 증명해왔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고순위 차트 진입 기록은 그룹의 글로벌 시장 침투력과 상업적 파워를 보여주는 객관적인 지표이며, 잠재적 클라이언트에게 리스크가 없는, 검증된 글로벌 투자처라는 확신을 제공합니다.
- 2025년 K-World Dream Awards 3관왕
- 2022년 골든디스크어워즈 음반 부문 본상
- 2021년 일본 골드 디스크 대상 올해의 신인 아티스트상 (아시아 부문)
- 2021년 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뮤직비디오상
- 2020년 골든디스크어워즈 신인상
- 2019년 멜론 뮤직 어워드 올해의 신인-남자
비하인드 아티스트
퍼포먼스 영상
공연 레퍼토리
큐시트
- 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
- 9와 4분의 3 승강장에서 너를 기다려
- Sugar Rush Ride
- Blue Hour
- 0X1=LOVESONG (I Know I Love You) feat. Seori
- Good Boy Gone Bad
클라이언트 후기
공연 역량 및 관객 동원력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이미 4번째 월드투어 '액트: 투로모우'(ACT: TOMORROW)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시작할 만큼 압도적인 공연 역량과 글로벌 관객 동원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고척스카이돔과 같은 대형 공연장을 매진시킬 수 있는 능력은 라이브 퍼포먼스에 대한 이들의 강력한 수요를 증명하는 동시에, 공연 기획자에게 안정적인 흥행 성과를 약속합니다.
이들은 단순히 노래를 부르는 것을 넘어 스테이지텔러로서의 명성에 걸맞게 스토리텔링과 몰입도 높은 연출, 그리고 압도적 라이브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어떤 규모의 무대에서도 관객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합니다. 이는 각종 기업 행사, 브랜드 론칭 쇼케이스, 페스티벌 등에서 최고 수준의 공연 퀄리티와 관객 만족도를 보장하는 핵심적인 강점입니다.
브랜드 협업 사례
광고 및 브랜드 파트너십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단순한 광고 모델을 넘어, 브랜드의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는 전략적 솔루션입니다. 롯데리아는 신제품 김치불고기버거 출시를 위해 투모로우바이투게더를 광고 모델로 발탁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유명인 기용이 아닌, 투트랙 전략이라는 고도화된 마케팅 전략의 일환이었습니다.
롯데리아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배우 이병헌을 내세워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하는 동시에, 4세대 아이돌 대표주자인 투모로우바이투게더를 통해 핵심 타겟층인 MZ세대의 높은 참여와 구매를 유도했습니다. 이 사례는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특정 타겟층에 대한 명확하고 강력한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브랜드가 원하는 시장을 정밀하게 공략하는 데 최적화된 파트너임을 보여줍니다. 이들의 팬덤은 높은 결집력과 구매력을 바탕으로 광고 모델 기용의 즉각적인 상업적 성과를 담보합니다.
팬덤 영향력 및 구매력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팬덤 모아(MOA)는 협업의 성공을 보장하는 내장형 마케팅 팀과 같습니다. 그들의 높은 참여도는 단순히 뮤직비디오 조회수와 '좋아요' 수에서 그치지 않고, 앨범 판매량과 굿즈 소비, 그리고 브랜드 제휴 제품의 구매로 직접 이어집니다.
이는 브랜드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와 협업하는 브랜드는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전 세계적으로 활성화된 강력한 홍보 채널을 확보하게 됩니다. 팬들은 자발적으로 브랜드 콘텐츠를 공유하고 바이럴을 생성하며, 이는 광고의 도달 범위와 효과를 극대화하는 강력한 동인이 됩니다.
브랜드 | 제품 및 서비스 | 아티스트 역할 |
---|---|---|
CU 편의점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콜라보 캠페인 | 브랜드 모델, 팝업스토어 협업 |
롯데리아 | 김치불고기버거, 에그김치불고기버거 | 광고 모델 (K-Burger 캠페인) |
크리스챤 디올 뷰티 | 뷰티 제품 라인 | 글로벌 앰배서더 |
삼성 갤럭시 | 스마트폰 배터리 공유 기능 | 제품 홍보 모델 |
KT | 5G 통신 서비스 | 브랜드 모델 (당신의 초능력 KT 5G 캠페인) |
결론 및 제안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단순히 현재의 인기를 누리는 그룹이 아니라, 예술적 깊이와 상업적 성공을 동시에 갖춘 전략적 파트너입니다. 이들은 독창적인 세계관과 스테이지텔러라는 브랜드 정체성으로 팬덤에 깊은 유대감을 선사하며, 이는 빌보드 차트에서의 지속적인 성공과 롯데리아 캠페인에서 보여준 MZ세대 공략의 성공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들의 수상 이력은 꾸준한 성장과 시장 내 확고한 입지를 증명하며, 대형 공연장을 매진시키는 관객 동원력은 라이브 이벤트의 성공을 보증합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변화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브랜드의 미래 성장을 견인할 가장 확실하고 효과적인 선택지입니다. 이들을 섭외하는 것은 단지 유명인을 기용하는 것을 넘어, 강력한 글로벌 팬덤과 높은 디지털 영향력, 그리고 독보적인 예술적 가치를 활용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