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스트 소개

브랜드 스토리

K-Pop 20년 역사를 완성한 '동방의 신', 시대와 국경을 초월한 글로벌 라이브 최강자

동방신기는 SM Entertainment 소속으로 2003년 12월 26일에 싱글 Hug로 한국에서 데뷔한 대한민국 보이그룹입니다. 그룹명인 동방신기(東方神起, TVXQ!)는 '동방의 신(神)이 일어난다[起]'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 초기 기획 단계부터 아시아 전역을 목표로 삼았음을 시사합니다.

초기에는 5인조 그룹이었으나, 2010년 8월 SMTOWN LIVE 투어를 기점으로 유노윤호와 최강창민의 2인조 체제로 활동을 재개했습니다. 이들은 2인조 재편 이후 데뷔 9년차에 접어들어 '안녕하세요, 동방신기입니다! We are~T!'라는 캐치프레이즈를 고안하였는데, 이는 팬덤(Cassiopeia/Bigeast)이 펄 레드(Pearl Red, #E4002B) 응원봉 2개로 T자를 만들며 함께 호응하는 참여형 인사법으로, 강력한 브랜드 정체성을 형성하는 요소입니다.

비주얼 포트폴리오

아티스트 이력

K-Pop 시스템의 선구적 역할

동방신기는 2000년대 초반 R&B 소울 발라드가 가요계를 잠식했던 시기에 비교적 대중 트렌드를 유지하며 활동한 유일한 댄스 아이돌이었습니다. 이는 후대의 2세대 아이돌 그룹들이 등장하기 이전, K-POP 시스템의 대중화 및 다양성을 이끌어낸 시발점이었다는 역사적 의미를 가집니다. 특히, 중국 시장을 목표로 멤버들의 예명을 네 글자로 맞춘 전략 은 이후 K-POP 그룹들이 다국적 시장을 타겟으로 삼는 기획의 기초를 다지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유연한 시장 대응 전략의 증명

본래 중국 시장을 목표로 했으나, 보아의 일본 메이저 시장 성공을 기반으로 일본 위주의 활동 노선을 선택하며 대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이러한 활동 노선의 성공적인 전환은 단순한 인기의 산물이 아니라, SM 엔터테인먼트의 체계적인 아티스트 인프라 구축과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전략적 판단의 결과입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동방신기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안정적인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임을 섭외 기업에게 입증합니다.

음악 스타일의 성숙과 진화

동방신기의 음악적 특징은 R&B, 발라드, 댄스, 일렉트로니카를 아우르는 다변화에 있습니다.

  • 초기 성공 (2000년대 중반): 'Hug', 'O-正.反.合.', '풍선' 등의 히트곡으로 2006년 아이돌 그룹 최초로 연말 시상식 그랜드 슬램을 달성하며 대중적 인기를 공고히 했습니다.
  • 2인조 체제 강화 (2010년대): 2012년 정규 6집 Catch Me, 2014년 정규 7집 TENSE 등의 활동을 통해 일렉트로니카 및 고강도 퍼포먼스 요소를 강화하며, 2인조로서의 압축된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음악적 정체성을 재정립했습니다. 이는 퍼포먼스 아티스트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현재 진행형 레전드: 2023년 데뷔 20주년을 맞아 정규 9집 20&2를 발매하는 등 오랜 경력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음악과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현재 진행형 아티스트로서의 역동성과 시장 관련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핵심 성과

전천후 무대 구성 능력

이들은 'Something', '주문 -MIROTIC-', 'Rising Sun', 'MAXIMUM' 등 압도적인 카리스마를 자랑하는 퍼포먼스 댄스곡과 함께, '믿어요', '투나잇' 등의 감미로운 발라드 무대를 완벽하게 소화할 수 있는 다채로운 레퍼토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천후적인 무대 구성 능력은 행사 및 축제의 종류나 분위기에 관계없이 관객의 만족도를 최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핵심 경쟁력입니다.   

2인 체제의 성공과 전문성

2010년 2인조로 재편된 이후, 동방신기는 더욱 응집되고 완벽한 무대를 선보이며 브랜드 평판지수를 지속적으로 상승시켰습니다. 이는 그룹의 내부적 변화가 아티스트의 상업적 생명력에 치명적일 수 있는 상황을 성공적으로 극복하고, 오히려 핵심 가치를 강화하여 최고 수준의 결과물을 제공하는 아티스트의 전문성과 의지를 입증합니다. 이는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고려하는 광고주나 주최 측에게 매우 강력한 신뢰를 형성합니다.

음반 및 시상식 기록

동방신기는 2013년 데뷔 10주년을 기점으로, 한국과 일본에서 통산 앨범 판매량 1,000만 장을 넘어섰으며, 누적 판매량은 약 1,100만 장 이상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K-POP 역사상 최고 수준의 판매고를 의미하며, 팬덤의 강력한 구매력(Spending Power)과 장기간의 대중적 영향력을 동시에 입증하는 지표입니다. 또한, 2006년에는 아이돌 그룹 최초로 연말 가요 시상식 그랜드 슬램(SBS 가요대전 대상, 골든디스크 대상, 서울가요대상 대상, MAMA 대상)을 달성하며 대중적 인기와 업계의 인정을 모두 확보했습니다.

일본 팬덤의 높은 소비력과 광범위한 세대 포용

동방신기의 일본 팬덤 'Bigeast'는 약 18만 명에 달하며, 이는 소속사 에이벡스(AVEX) 내에서도 가장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들의 팬층은 20~30대는 물론 40대 이상의 중장년층까지 폭이 넓다는 것이 중요한 특징입니다.

중장년층 팬덤의 존재는 아티스트의 상업적 가치를 극대화합니다. 이들은 높은 가처분 소득을 바탕으로 콘서트 티켓, 굿즈, 음반 구매 등에서 매우 안정적이고 높은 소비력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동방신기를 섭외하는 것은 단순히 대규모 관객을 모으는 것을 넘어, 높은 소비력을 가진 충성도 높은 성인 관객층을 행사나 브랜드로 유입시키는 것을 보장하며, 이는 이벤트의 재정적 성공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비하인드 아티스트

​퍼포먼스 영상

공연 레퍼토리

셋리스트

  • MIROTIC
  • Rising Sun
  • Hug
  • Something
  • The Chance of Love

아티스트의 셋리스트는 현장 상황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공연 섭외 시 장점

위상 격상 및 흥행 안전성

해외 아티스트 최다 돔 투어 기록 은 이들이 명실상부한 'K-POP 레전드'로서 대규모 관객을 동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음을 의미합니다. 기업 축제, 대형 K-POP 페스티벌, 지방자치단체 축제 등 어떤 종류의 이벤트에서든 동방신기를 헤드라이너로 섭외하는 것은 행사의 위상을 즉각적으로 격상시키고 흥행에 대한 위험 부담을 최소화합니다

다세대 관객 통합

동방신기는 데뷔 초부터 현재까지 히트곡을 보유하고 있으며, '홍백가합전' 연속 출연 등 오랜 기간 동안 대중에게 노출되어 왔습니다. 이로 인해 10대 팬덤부터 40~50대 중장년층까지 폭넓은 세대를 관객으로 유치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족 단위 관객 유치나 전 세대를 아우르는 기업 행사에 섭외될 경우, 타 아티스트보다 월등한 세대 통합 효과를 제공합니다.

광고 섭외 시 장점

프리미엄 이미지 및 저위험 마케팅

멤버들은 '비주얼과 댄스뿐만 아니라 열심히 하는 모습과 인간성'이 전달된다는 평가를 받으며, 특히 일본 팬들 사이에서 예의 바른 모습으로 높이 평가받아 왔습니다. 이러한 깨끗하고 프로페셔널하며 자기관리가 철저한 이미지는 브랜드의 신뢰도와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장기적으로 높이는 데 기여하는 저위험, 고신뢰 모델입니다. 실제로 동방신기는 화장품 브랜드 '미샤' , '펩시넥스', '신라면세점' 등 고급스러운 이미지가 필요한 브랜드의 모델로 활동한 바 있습니다.

독점적인 아시아 마케팅 채널 활용

동방신기는 일본 최대 유통그룹 '세븐&아이홀딩스'의 썸머 캠페인 모델, '소고 세이부(SOGO SEIBU)' 등의 모델로 활동하며 일본 현지 대기업들과의 협업 경험을 축적했습니다.   

이러한 광고 이력은 동방신기가 특정 장르나 연령대에 국한되지 않고, 제품의 속성 및 마케팅 목표에 따라 이미지를 유연하게 변화시키며 광범위한 구매층에 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특히 유통 및 면세점 광고 경험은 높은 구매력을 가진 아시아 관광객 및 현지 소비자를 동시에 타겟할 수 있는 전략적 이점을 제공하며, 글로벌 B2C 캠페인은 물론, 대규모 유통사나 파트너사를 대상으로 하는 B2B 신뢰 구축 마케팅에서도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브랜드 협업 사례

브랜드제품 및 서비스아티스트 역할
요기요음식배달 플랫폼윤호
오뚜기오뚜기 컵밥윤호
아모레퍼시픽브로앤팁스 (뷰티 제품)윤호
맥스웰하우스콜롬비아나 마스터 (커피)윤호
한국오츠카제약우르오스 스킨워시윤호
제주항공항공사 서비스동방신기 (그룹)
LG패션라푸마 (아웃도어 브랜드)윤호
하우스텐보스테마파크동방신기 (그룹)
Glico목장 시보리 (아이스크림)동방신기 (그룹)
미샤화장품 (아시아 모델)동방신기 (그룹)
NISSEN의류/쇼핑 서비스동방신기 (그룹)
라코스테스포츠 의류동방신기 (그룹)
세븐일레븐편의점 (일본)동방신기 (그룹)
소고·세이부 카드신용카드/백화점동방신기 (그룹)
세븐&아이홀딩스소매/백화점 그룹동방신기 (그룹)
나이키WOMEN'S RACE 캠페인동방신기 (그룹)
펩시콜라넥스 음료동방신기 (그룹)
신라면세점면세점 (장기 모델)동방신기 (그룹)
MEDICAL SHINE의료/미용 서비스동방신기 (그룹)
MENARDILLUNEIGE 뷰티 제품동방신기 (그룹)
삼성전자하하하 캠페인동방신기 (그룹)
스즈키쉐보레 MW (자동차)동방신기 (그룹)
ABC 마트신발/의류 유통동방신기 (그룹)
야마하 발동기야마하 모토사이클동방신기 (그룹)
삼성전자 애니콜애니콜 햅틱 컬러 (휴대폰)동방신기 (그룹)
삼성전자 애니콜애니콜 햅틱 (휴대폰)동방신기 (그룹)
삼성전자 애니콜애니밴드 (오디오스타폰)준수
VERITE쥬얼리 브랜드동방신기 (그룹)
이온여름 선물 캠페인동방신기 (그룹)
삼성제일모직FUBU 의류동방신기 (그룹)
롯데제과7% 음료동방신기 (그룹)
배스킨라빈스배스킨라빈스 31 (아이스크림)동방신기 (그룹)
NHNNAVER (목소리 나레이션)동방신기 (그룹)
오리온제과美Stick (과자)동방신기 (그룹)
라모도라모도 쇼핑몰동방신기 (그룹)
제너시스BBQ 치킨동방신기 (그룹)
삼성전자디지털카메라 케녹스 PMP동방신기 (그룹)
LG전자LG 모바일폰동방신기 (그룹)
휠라 코리아휠라(FILA) 스포츠의류동방신기 (그룹)
에어스캣롤러브레이드동방신기 (그룹)
SK텔레콤Ting (모바일)동방신기 (그룹)
해태제과맛동산 (과자)동방신기 (그룹)
SK네트웍스(스마트에프앤디)Smart 학생복동방신기 (그룹)
삼성전자MP3 Yepp동방신기 (그룹)
예나트레이딩GIA 의류브랜드동방신기 (그룹)
오오츠카 제약오로나민C (건강음료)동방신기 (그룹)
호텔롯데롯데면세점동방신기 (그룹)
문화체육관광부대한민국 관광 홍보동방신기 (그룹)
롯데제과설레임 아이스크림동방신기 (그룹)
EVISU의류윤호
FRENTEPinky (브랜드)동방신기 (그룹)

결론 및 제안

동방신기는 K-POP 시장에서 역사적 가치(Heritage Value)와 상업적 안정성(Commercial Reliability)을 동시에 제공하는 극소수의 아티스트 중 하나입니다. 이들의 섭외 가치는 다음과 같이 요약됩니다.

  • 압도적 상업적 안전성: 한일 통산 1,100만 장 이상의 음반 판매량과 해외 아티스트로서 달성한 89회의 일본 돔 투어 기록은 동방신기를 활용한 모든 투자에 대해 높은 흥행 성공 가능성을 보장하는 정량화된 지표입니다.
  • 시대적 상징성 및 리더십: K-POP 1.5/2세대의 시발점이자 'K-팝의 DNA' 를 이룬 상징성은, 이들이 단순한 엔터테이너를 넘어 K-Culture의 위상을 높이는 주역 임을 의미합니다.
  • 전문성 기반의 지속 가능성: 2인조 재편의 성공은 이들이 변화와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오랜 기간 동안 최고 수준의 전문성을 유지해온 지속 가능한 브랜드임을 입증합니다.

연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