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스트 소개
브랜드 스토리
26년 차 발라드의 황태자, 시대를 초월한 영화적 감성의 아이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발라드 가수 조성모는 1998년 '발라드의 황태자'라는 타이틀로 가요계를 대표한 톱스타입니다. 영화같은 뮤직비디오를 선보이며 얼굴없는 가수로 신비주의 마케팅과 영화같은 뮤직비디오의 시대를 연 가수로, '아시나요'는 폭발적인 미성으로 2년 연속 대상을 수상하면서 가수로서의 경력 부분에서 최고점을 달성했습니다. 쟁쟁한 아이돌 틈바구니 사이에서 오로지 노래만으로 대중의 이목을 끄는데 성공한 진정한 아티스트입니다.
비주얼 포트폴리오

아티스트 이력
조성모는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중반까지 당시 가요계를 대표한 톱스타로, 특히 발라드 장르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구축했습니다. 데뷔 초기부터 신비주의 마케팅을 통해 음악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으며, 이는 순수한 음악성 추구로 이어졌습니다.
음악적 특징
- 폭발적 미성: 폭발적인 미성으로 2년 연속 대상을 수상하며 발라드계의 독보적 존재감 구축
- 감성적 표현력: 애절하고 깊이 있는 감정 전달로 리스너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능력
- 완성도 높은 발라드: 멜로디와 가사, 보컬이 완벽하게 조화된 완성형 발라드
핵심 성과
- 2.5집 《Classic》: 160만장
- 3집 《Let Me Love》: 출시 4일 만에 100만장, 최종 207만장
- 4집 《No More Love》: 90만장
- 1999년 KBS·MBC·서울가요대상·골든디스크 4관왕
- 2003년 골든디스크 대상(남성 솔로 가수 마지막 수상)
- 2000년 음반 판매량 1·2위 석권 → ‘조성모의 해’
- 드라마 OST ‘너의 곁으로’ 벨소리 1,000만 다운로드 기록
- 뮤직비디오 혁신: '아시나요' 뮤직비디오 제작비 15억 투입, 대한민국 뮤비 역사상 최고의 뮤비라는 찬사
- 연속 대상 수상: 2년 연속 대상을 수상하면서 가수로서의 경력 부분에서 최고점 달성
- 밀리언셀러 달성: 앨범 판매량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 기록
- 시대적 상징: '응답하라 1997' 드라마에서 하나의 드라마 에피소드로 소개될 정도로 90년대 후반 문화 아이콘
비하인드 아티스트
퍼포먼스 영상
공연 레퍼토리
큐시트
- To Heaven
- 아시나요
- 가시나무
- 다짐
- 너의 곁으로
- 행복했었다.
행사 및 축제 섭외 시 장점
폭넓은 연령층 어필
- 40-50대 메인 타겟: 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전성기를 기억하는 핵심 팬층
- 크로스 제너레이션: 부모세대와 자녀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명곡 보유
- 추억과 향수: 특정 시대를 대표하는 아티스트로서 강력한 감성적 어필
높은 완성도의 라이브 퍼포먼스
- 검증된 라이브 실력: 26년간 축적된 무대 경험과 안정적인 라이브 능력
- 감성적 무대 연출: 발라드 특화 무대로 관객들의 감정적 몰입도 극대화
- 프로페셔널한 무대 매너: 오랜 경력을 통해 다져진 완성도 높은 공연 진행
브랜드 가치 및 신뢰성
- 클린한 이미지: 26년간 큰 스캔들 없이 유지된 깨끗한 아티스트 이미지
- 사회적 활동: 2011년 성모의 마을 홍보대사, 2003년 대한암학회 홍보대사 등 사회공헌 활동
- 교육자로서의 신뢰: 서경대학교 평생교육원 실용음악학과 교수 활동으로 교육계에서의 인정
광고 섭외 시 장점
타겟 마케팅 효율성
- 명확한 타겟층: 40-50대 주력 소비층에 대한 강력한 영향력
- 프리미엄 이미지: 발라드의 황태자라는 브랜드 가치로 고급 제품군 어필 가능
- 신뢰도 기반 마케팅: 오랜 기간 축적된 아티스트 신뢰도를 활용한 제품 신뢰성 전이
브랜드 스토리텔링
- 감성 마케팅: 발라드 특유의 감성을 활용한 브랜드 스토리 구축 가능
- 세대 연결: 부모세대의 추억과 연결된 브랜드 스토리로 가족 단위 소비 유도
- 진정성: 26년간 한 길을 걸어온 아티스트의 진정성을 브랜드 가치에 투영
미디어 활용도
- 검증된 미디어 노출: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 출연 경험과 미디어 친화적 이미지
- 콘텐츠 제작 용이성: 풍부한 히트곡 레퍼토리를 활용한 다양한 광고 콘텐츠 제작 가능
- 디지털 연계: 유튜브 등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조성모 관련 콘텐츠 높은 조회수 활용
브랜드 협업 사례
연도 | 광고·홍보대사 |
---|---|
2023–2025 | 울산시 홍보대사 |
2021 | 경주시 홍보대사 |
2020 | 경기대학교 홍보대사 |
2019 | 한국생명의 전화 홍보대사 |
2012 | 지구살리기 캠페인 홍보대사 |
2007 | 논산 복지시설 ‘성모의 마을’ 홍보대사 |
2007 | 구리시 홍보대사 |
2005 | 평화의료재단 홍보대사 |
2005 | 구리시 홍보대사 |
2003 | 대한암학회 홍보대사 |
2001 | 월드컵 홍보대사 |
2000 | 전자실 홍보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