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스트 개관

브랜드 스토리

27년 차 대한민국 대표 록 밴드, 독보적 감성과 무대 퍼포먼스의 원조

1997년 데뷔 이래 대한민국 록 음악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한 자우림은 '헤이 헤이 헤이', '스물다섯, 스물하나', '매직 카펫 라이드' 등 시대를 초월한 히트곡으로 3세대에 걸친 팬층을 확보했습니다. 2022년 MAMA 어워즈에서 '인스파이어링 어치브먼트' 수상으로 공식 인정받은 한국 최장수 혼성 밴드로서, 2024년 현재까지 전국 투어 및 글로벌 공연을 성황리에 진행 중인 국내 유일의 장수 록 밴드입니다.

비주얼 포트폴리오

아티스트 이력

1993년 인디 밴드 '풀 카운트'로 시작해 1997년 영화 《꽃을 든 남자》 OST '헤이 헤이 헤이'로 정식 데뷔한 자우림은 김윤아(보컬), 이선규(기타), 김진만(베이스)의 3인조 체제로 25년 이상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2017년 드러머 구태훈 탈퇴 후에도 3인 체제로 안정적인 음악적 정체성을 유지하며, 2021년 11집 《영원한 사랑》 발매로 데뷔 24주년을 기념했습니다. 서울예술대학교와 경희대학교 출신 멤버들의 학문적 배경이 음악적 깊이에 기여했으며, 2022년 기준 누적 음반 판매량 120만 장, 음원 스트리밍 15억 회를 돌파하는 기록을 보유

핵심 성과

몽환적 서사와 사회적 메시지의 융합이 핵심 아이덴티티입니다. 2000년 3집 《The Wonderland》의 '매직 카펫 라이드'는 판타지적 비유로 청춘의 방황을 형상화했으며, 2013년 9집 《Goodbye, Grief》의 '스물다섯, 스물하나'는 2030세대의 정체성 갈등을 6/8박자 발라드로 승화시켜 2023년 기준 멜론 록/메탈 차트 13위 기록. 2022년 발표한 'HOLA!'는 라틴 리듬에 한국적 서정을 접목해 40대 이상 연령층에서 78% 스트리밍 점유율 달성.

주요 수상 경력으로는 2019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모던록 앨범상(《자우림》), 2022 MAMA 인스파이어링 어치브먼트상, 2014년 제11회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모던록 노래상('스물다섯, 스물하나') 등 23개 트로피를 보유

비하인드 자우림

퍼포먼스 영상

공연 레퍼토리

큐시트

클라이언트 후기

폭넓은 연령층 어필

  • 전 세대 공감: 1997년 데뷔 이래 27년간 활동으로 20대부터 50대까지 폭넓은 팬층 보유
  • 세대 연결: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음악으로 가족 단위 관객 유치 가능

독창적 무대 연출

  • 차별화된 퍼포먼스: 일반적인 록 밴드와 다른 세련되고 감성적인 무대 구성
  • 시각적 임팩트: '깔끔한 옷차림과 짧은 머리'로 록밴드 고정관념 탈피, 독특한 비주얼 연출

검증된 공연력

  • 라이브 실력: 27년간 쌓인 무대 경험과 안정적인 라이브 퍼포먼스
  • 관객 몰입도: 김윤아의 독특한 보컬과 이선규의 기타 연주로 높은 관객 만족도 보장

브랜드 가치 및 신뢰성

  • 문화적 권위: 한국 록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아티스트로서의 브랜드 가치
  • 일관성: 27년간 변하지 않는 음악적 정체성으로 신뢰할 수 있는 아티스트
  • 미디어 친화성: 방송 출연 경험 풍부하여 각종 매체 협업 용이

마케팅 효과

  • 화제성: 자우림 출연 자체가 뉴스가 되는 아티스트로서 자연스러운 홍보 효과
  • 소셜 미디어: 오랜 팬덤과 새로운 팬층의 SNS 확산을 통한 바이럴 마케팅 효과
  • 음악적 완성도: 높은 음악적 수준으로 행사의 품격 상승 효과

다양한 행사 적합성

  • 페스티벌: 록 페스티벌부터 감성 음악 축제까지 다양한 장르의 행사 적합
  • 기업 행사: 세련되고 차별화된 이미지로 브랜드 격 상승 효과
  • 공공 행사: 전 연령층 어필 가능한 음악으로 시민 참여형 행사에 최적화

브랜드 협업 사례

문화적 아이콘으로서의 신뢰도와 세대 간 공감대 형성 능력이 최대 강점입니다. 2021년 보험사 '내일을 지켜줄 것' 캠페인에서 40대 이상 타겟 CTR 6.8% 기록, 2023년 아웃도어 브랜드 밀레 모델로 발탁되어 20대 여성 고객 유입률 34% 상승. 2024년 롯데제과 '가나 초콜릿' CF에서는 1980년대 감성 리메이크로 제품 리콜 지수 78점(업계 평균 52점) 달성

섭외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