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스트 소개
브랜드 스토리
글로벌 음악 산업의 판도를 재정의하는 총괄 프로듀싱 아티스트
i-dle은 현 K-Pop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자산인 창작 자율성을 완전히 확보한 그룹으로 평가받습니다. 이들은 단순히 기획사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아이돌의 역할을 넘어, 앨범의 기획, 작사/작곡, 비주얼 스토리텔링에 이르는 전 과정을 그룹 내부에서 완벽하게 통제하는 '총괄 프로듀싱 아티스트'로서 독자적인 시장 영역을 구축했습니다. 리더 소연이 팀의 총괄 프로듀서 역할을 맡아 컨셉, 제목, 스토리텔링, 뮤직비디오, 의상 시안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는 점은 , 클라이언트에게 일관성 있고 강력한 내러티브를 보장하는 '고위험-고수익' 전략 파트너로서의 가치를 부여합니다.
'i-dle' 시대의 개막
가장 주목해야 할 그룹의 변화는 2025년 5월 2일 스페셜 미니 앨범 프로모션 시작과 동시에 단행된 공식 그룹명 변경입니다. 기존의 명칭인 '(여자)아이들' 또는 '(G)I-DLE'에서 '아이들(i-dle)'로 공식 변경되었습니다. 큐브엔터테인먼트는 그룹명에서 '여자' 또는 'G'를 삭제함으로써 "여자 혹은 그 어떤 성별로도 정의될 수 없는 그룹의 정체성을 재확립"했다고 밝혔습니다. 괄호를 없앤 것 역시 "한계 없는 음악과 콘셉트"를 보여주겠다는 의지의 표현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리브랜딩을 넘어, 그룹이 지향하는 '자아 발견' 및 '자기 결정' 메시지를 확고히 하는 행위로 해석됩니다. 그룹명 '아이들'은 개인으로서의 'i'와 팀으로서의 'dle'이 공존한다는 철학을 담고 있으며, 멤버 개개인의 고유성을 단체로서의 정체성과 동시에 담아냅니다.
성별을 지칭하는 기표를 제거하는 이러한 행위는 현재 글로벌 Gen Z 세대가 중시하는 포괄성(Inclusivity) 및 정체성의 유동성(Fluidity) 트렌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전략적 포지셔닝입니다. i-dle은 전통적인 K-Pop 아이돌의 틀을 벗어나, 진보적이고 메시지 중심적인 글로벌 브랜드 및 기업의 캠페인과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개념적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데뷔 및 초기 성공 이정표
i-dle은 데뷔와 동시에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K-Pop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데뷔 앨범 활동 20일 만에 음악 방송 1위를 차지하고, 음원 차트 상위권 진입과 신인상 7관왕을 기록하며 "괴물 신인"으로 평가받았습니다.
초기부터 이들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 팬덤을 탄탄하게 구축했습니다. 특히 라이엇 게임즈의 이벤트성 그룹인 K/DA 콜라보레이션 활동을 통해 디지털 네이티브 및 북미 시장의 해외 팬덤을 선점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후 Mnet '컴백전쟁: 퀸덤'에 참가하여 강렬한 존재감, 뛰어난 실력, 무대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국내 팬덤 규모를 비약적으로 성장시켰고, 명실상부한 "대세 걸그룹" 중 한 팀으로 확고히 자리 잡았습니다.
멤버 소개
- 소연* : 메인 레퍼
- 미연 : 메인 보컬
- 민니 : 메인 보컬
- 우기 : 서브 보컬
- 슈화 : 서브 보컬
비주얼 포트폴리오



아티스트 이력
독보적인 자체 프로듀싱 시스템: 'i-dle'만의 색깔
i-dle의 가장 독보적인 특징은 '자체 제작 시스템'으로, 앨범의 모든 곡을 멤버들이 작사, 작곡하며 채워온다는 점입니다. 이는 K-Pop 산업에서 흔치 않은, 최상위권의 창작 자율성을 보여줍니다.
이 시스템의 핵심은 리더 소연의 역할입니다. 소연은 단순한 메인 래퍼나 작곡가를 넘어, 팀의 총괄 프로듀서로서 앨범 컨셉, 스토리텔링, 컴백 계획, 뮤직비디오 및 컨셉포토, 의상 및 네일 시안, 굿즈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비주얼 스토리텔링에 대한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합니다. 이러한 통제력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훼손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며, 일관성 있는 메시지를 시장에 투입할 수 있게 합니다. 소연 외에도 민니와 우기 역시 작곡에 활발하게 참여하며 ('Klaxon' , 솔로곡 및 수록곡 다수 ) 그룹의 창작 역량을 더욱 풍부하게 확장합니다.
메시지 중심의 콘셉트 전략: 시대를 선도하는 서사
i-dle은 앨범마다 뚜렷한 콘셉트와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설정하며, 이를 곡과 앨범 전체에 완벽하게 녹여냅니다. 일반적인 그룹들이 정해진 틀 내에서 활동하는 것과 달리, 이들은 활동할 때마다 새로운 줄기를 세우는 것이 이례적입니다. (예: 'Oh my god'의 천사-악마 이미지 교차, '화(火花)'의 서정적인 동양미).
특히 정규 1집 이후부터 표현하고자 하는 사회적 메시지와 테마가 더욱 강렬해졌습니다. 이는 타이틀곡 대부분이 K-Pop 주류인 '사랑 타령'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에서도 확인됩니다. 대표적으로 'TOMBOY'는 외부의 기대와 규정을 거부하고 '내가 자처해서 tomboy가 되겠다'는 선언을 담았으며, 'Nxde'는 '누드'라는 단어에 씌워진 선입견을 비판하며 '내가 아닌 모습으로 사랑을 받을 바에는 나의 모습으로 미움을 받겠다'는 강력한 자기 주도적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또한, i-dle은 장르 유연성이 뛰어난데, 이는 과거 음악 스타일을 적극적으로 재해석하여 활용하는 데서 나타납니다. 'Nxde'에서는 오페라 《카르멘》의 아리아 '하바네라'를 퓨처링하여 클래식한 분위기를 조성했고, '퀸카 (Queencard)', '클락션 (Klaxon)' 등에서는 Y2K 장르와 팝 펑크 요소를 활용했습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장르 구사는 '높은 예술성'과 '대중적 접근성'을 동시에 확보하려는 전략이며, i-dle이 고품격 럭셔리 브랜드는 물론, 향수를 자극하는 소비재 브랜드와의 협업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압도적인 실력: 'i-dle이 곧 장르'
i-dle 멤버들의 역량은 모두 뛰어난 편이며, 이는 "i-dle이 장르"라는 평가를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멤버들은 라이브 무대에서의 안정감과 퍼포먼스 실력으로 대중과 업계 모두에게 인정을 받았습니다.
보컬 라인은 미연(청량한 미성), 민니(몽환적이고 독특한 음색, 감성 보컬), 우기(가장 낮고 허스키한 음색), 슈화(상당히 높은 음역대) 등 다채로운 개성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곡의 콘셉트와 메시지를 표현하는 데 있어 풍부한 표현력을 제공합니다. 또한, 메인 래퍼 소연은 수준급의 딕션과 라임 센스를 겸비하여 동세대 걸그룹 래퍼 중 최상위권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 이는 i-dle의 음악이 단순히 멜로디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명확하게 각인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핵심 성과
차트 퍼포먼스 및 산업 공신력
i-dle은 컴백 시마다 국내외 음원 차트에서 높은 성과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흥행 파워를 지속적으로 입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룹 재편 이후 발매된 'TOMBOY'와 'Nxde'가 연이어 메가 히트를 기록하며, 그룹의 위기를 오히려 상업적 성공으로 전환시키는 강력한 추진력과 시장 적응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러한 연속적인 성공은 i-dle이 단발적인 유행이 아닌, 장기적으로 시장을 선도하는 아티스트임을 증명합니다.
글로벌 입지 및 팬덤 구조
i-dle은 데뷔 초 K/DA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확보한 해외 팬덤과, 멤버들이 다국적(한국, 태국, 중국)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기반으로 강력한 글로벌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투어 및 해외 프로모션 시 막대한 이점으로 작용하며, 특히 아시아권을 넘어 북미와 유럽 시장까지 포괄하는 팬덤 동원력을 자랑합니다.
i-dle의 팬덤 '네버랜드(Neverland)'는 아티스트의 자체 제작 메시지에 깊이 공감하며 이념적 결속력이 매우 높습니다. 이는 상업적 파트너십 시 중요한 이점으로 작용합니다. 이 팬덤은 제품 구매 시 단순한 소비를 넘어 아티스트의 철학을 지지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작용하여, 광고 캠페인에서 높은 전환율(Conversion Rate)과 강력한 팬덤 바이럴 효과를 보장합니다. 결과적으로 브랜드 메시지에 대한 진정성 있는 옹호로 이어져, 단순한 노출 이상의 강력한 충성도 효과를 창출합니다.
비하인드 아티스트
퍼포먼스 영상
공연 레퍼토리
셋리스트
- LATATA
- 화
- TOMBOY
- Nxde
- Queencard
- LION
아티스트의 셋리스트는 현장 상황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공연 섭외 시 장점
i-dle은 무대 위에서 최고의 현장 에너지와 퍼포먼스 실력을 선보입니다. Mnet '퀸덤'을 통해 입증된 압도적인 무대 장악력은 밴드 사운드, 팝 펑크(TOMBOY), Y2K 레트로 등 다이내믹한 음악적 요소를 통해 관객에게 강렬한 경험을 선사합니다.
이들은 '퀸카 (Queencard)', 'TOMBOY'와 같이 대중이 함께 떼창하고 챌린지 친화적인 히트곡을 다수 보유하고 있어 청중 동원력과 현장 공감대가 매우 높습니다. 특히 대학 축제 및 청년 대상 이벤트에서 최고의 참석률과 현장 바이럴 효과를 보장합니다. i-dle의 사운드는 순수 K-Pop에만 국한되지 않고 락/팝 펑크 요소, Y2K 레트로, 그리고 K/DA로 연결되는 글로벌 팝 사운드를 융합합니다. 이는 일반 K-Pop 축제 외에도 밴드/팝 페스티벌 등 다양한 장르의 무대에 성공적으로 크로스오버하여 여러 장르의 팬층을 동시에 유치하는 '관객 다양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광고 섭외 시 장점
i-dle은 단순한 광고 모델을 넘어, '브랜드 스토리텔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들의 강력한 자체 제작 내러티브는 광고 캠페인의 메시지에 깊이와 진정성을 부여합니다.
럭셔리/예술 산업
- i-dle과의 핵심 시너지 : 고전(클래식)과 팝의 융합 ('Nxde'의 하바네라), 높은 수준의 비주얼 콘셉트 기획력.
- 추천 테마 및 메시지 : '차이를 만드는 예술성', '시대를 초월하는 우아함
IT/기술/금융 산업
- i-dle과의 핵심 시너지 : 아티스트 스스로 모든 것을 기획하는 '자율성'과 '혁신'의 서사.
- 추천 테마 및 메시지 : '스스로 길을 개척하다', '경계를 허무는 혁신'
뷰티/패션 (MZ 세대)
- i-dle과의 핵심 시너지 : 'TOMBOY', '퀸카'로 대표되는 자기 긍정 메시지; Y2K 트렌드 선도.
- 추천 테마 및 메시지 : '나의 모습 그대로 당당하게', '정의되지 않는 아름다움'
소비재 (글로벌)
- i-dle과의 핵심 시너지 : 다국적 멤버의 친숙함과 K/DA를 통해 확보된 폭넓은 글로벌 디지털 인지도.
- 추천 테마 및 메시지 : 현지 시장과의 문화적 친밀도 기반의 글로벌 캠페인.
브랜드 협업 사례
| 브랜드 | 제품/서비스 | 아티스트 역할 |
|---|---|---|
| Coach (코치) | 럭셔리 패션 & 가죽 제품 | 소연 - 글로벌 앰버서더 |
| UGG (어그) | 부츠 & 슈즈 | 소연, 우기 - 모델 |
| 아디다스 (Adidas) | 스포츠웨어 & 운동화 | 소연 - 모델 |
| 세라핀 (Seraphine) | 모성복 & 패션 | 미연 - 모델 |
| 원씽 (ONE THING) | 원재료 스킨케어 | 미연 - 공식 앰버서더 (브랜드 첫 앰버서더) |
| OPPO | 스마트폰 & 전자기기 | 우기 - 모델 (중국) |
| Vidal Sassoon | 헤어케어 | 우기 - 모델 (중국) |
| Bose | 음향기기 & 이어폰 | 우기 - 모델 |
| 맥동 | 음료 | 우기 - 모델 (중국) |
| 메디힐 (MEDIHEAL) | 마스크팩 & 스킨케어 | 민니 - 글로벌 모델 |
| 셀퓨전씨 (햇빛연구소) | 선케어 화장품 | 미연 - 모델 |
| ANESSA | 선케어 화장품 | 우기 - 모델 |
| DEKAVV | 의류 & 애슬레저 | 우기 - 모델 |
| 클라셋 (Qrsessed) | 컬러렌즈 | 우기 - 모델 |
| OPPO Reno13 | 스마트폰 | 우기 - 모델 (중국) |
| 선양 (맥키스컴퍼니) | 소주 | 미연 - 모델 |
| 지미 추 (Jimmy Choo) | 럭셔리 슈즈 & 가방 | 미연 - 글로벌 앰버서더 |
| 질 스튜어트 뷰티 코리아 (Jill Stuart Beauty) | 화장품 | 미연 - 앰버서더 & 뮤즈 |
| 시티브리즈 | 패션 | 미연 - 모델 |
| 그루브라임 | 의류 | 우기 - 모델 |
| INTO YOU | 화장품 | 우기 - 모델 (중국) |
| BOY BY BOY | 의류 | 우기 - 모델 |
| 세리박스 (퍼플랩스 헬스케어) | 건강보조식품 | 우기 - 모델 |
| 타사키 (TASAKI) | 주얼리 | 미연, 민니 - 모델 |
| 불가리 (BVLGARI) | 럭셔리 주얼리 & 시계 | 그룹 전체 - 화보 모델 |
| Limeflare | 의류 | 우기 - 모델 (중국) |
| Momenten | 주류 | 우기 - 모델 |
| 아키클래식 (AKIII CLASSIC) | 운동화 & 라이프스타일 스포츠 | 그룹 전체 - 공식 모델 |
| VIVLAS (CNCO) | 화장품 | 우기 - 모델 |